본문 바로가기

System Security/Theory

Chapter 9. 취약점 분석

Chapter 9. 취약점 분석
1. 취약점
 - 보안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Computer System, Network 등의 약점
 - 취약점 분류
  · 일반 Application 취약점
  · Web Application 취약점
  · Service 취약점
 - 대표적인 취약점 공격 원리
  · Buffer OverFlow Attack
  · Format String Attack
  · Race Condition Attack
  · UAF Attack
 - 취약점을 활용한 공격 목적
  · 권한 상승 및 관리자 권한 획득
  · DoS(Service 거부, Service 방해) Attack
  · 인증 우회
  · System Destroy
 - 취약점 Scan
  · 기존에 발견된 취약점을 이용해 해당 System에 취약점이 존재하는지 알아내는 방법
  · 종류
  ◦ 원격 취약점 Scan
  ◦ Local 취약점 Scan
  ◦ Application Program 취약점 Scan
  · 취약점 Scan Tool
  ◦ Nessus
   ▹ 유료 및 무료 평가판을 제공하는 Program으로 가장 많이 쓰인다고 알려져 있다.
   ▹ 취약점 Database가 커서 취약점을 보다 많이 발견할 수 있다.
   ▹ Kali-Linux(Back Track)에 설치해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 OpenVAS
   ▹ 무료 평가판을 제공하는 Program이다.
   ▹ 취약점 Database가 비교적 작아 발견 가능한 취약점 보유량이 적은 편이다.

 

2. Exploit Database
 - Exploit
  · 취약점을 분석해 공격하는 Script 또는 Tool
 - Exploit 분석 운영 체제 : Kali-Linux(Back Track)
  · 각종 Tool을 설치해 놓은 Linux 운영체제로 Exploit 및 System의 취약점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며 사용 의도에 따라 공격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 Exploit Database
  · Exploit을 분석해 Upload한 Site
  · URL http://www.exploit-db.com/



  ◦ EDB_ID : Exploit-DB Site의 Exploit 분류 번호
  ◦ CVE : 'http://cve.mitre.org' Site의 Exploit 분류 번호
  ◦ OSVDB-ID : 'http://www.osvdb.org' Site의 Exploit 분류 번호
  ◦ Author : 문서의 작성자
  ◦ Published : 문서 공개일
  ◦ Verified : Exploit-DB Team의 검증 여부
  ◦ Exploit Code : 해당 Exploit의 Code
  ◦ Vulnerable App : 해당 Exploit에 취약한 Application Pogram

 

'System Security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11. Shared Memory  (0) 2015.08.18
Chapter 10. Race Condition Attack  (0) 2015.08.18
Chapter 7. BOF(Buffer OverFlow) III  (0) 2015.08.18
Chapter 6. BOF(Buffer OverFlow) II  (0) 2015.08.18
Chapter 5. BOF(Buffer OverFlow) I  (0) 2015.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