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apter 9. Network of Linux Chapter 9. Network of Linux 1. TCP/IP Network - Linux의 Network는 SELinux(Security Enhanced Linux)와 Network Service에 의해 관리된다. - Linux의 보안은 초기 설치 시 굉장히 느슨한 상태로 설치되며 보안이 취약해 보안 설정을 해줘야한다. - 보안성과 편의성은 반비례해 보안성이 높아지면 편의성은 낮아지고 편의성이 높아지면 보안성이 낮아진다. - Network Service가 원활히 수행되려면 Daemon을 실행해줘야 한다. - Daemon · Linux내의 주기적인 Service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계속 실행되는 프로그램 · Network Daemon ◦ Network Daemon의 인수로 start, stop,.. 더보기
Chapter 8. Mount Chapter 8. Mount 1. Mount - Mount · Hard Ware와 Soft Ware는 직접 소통이 불가해 Driver를 통해 소통하는데 Hard Ware를 인식하는 것을 Mount라고 한다. · Linux 환경에서 논리적으로 Disc와 Directory를 붙이는 것 · File System 형식이 아닌 Device는 Mount 할 수 없다. - Mount를 하면 Device의 내용을 볼 수 있으며 해당 Device의 내용을 Mount Point를 통해 볼 수 있게 된다. - Mount Point · 해당 Device가 Mount되는 지점(Directory) - 지역이나 원격으로 행해질 수 있다. - 지역 Mount · 하나의 논리 시스템으로서 행동하도록 여러 대의 Disc Drive들을.. 더보기
Chapter 7. Partition Chapter 7. Partition 1. File System - 자료를 계층적으로 저장, 탐색, 접근, 조작하기 위한 추상적 자료구조의 집합 - File에 이름을 붙이고, 저장이나 검색을 위해 논리적으로 그것들이 어디에 위치시켜야 하는지 등을 나타내는 방법이다. - 컴퓨터의 File과 그 안에 든 자료를 저장 및 찾기를 보다 편리하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하는 방법 또는 네트워크상에 존재한 File에 접근하기 위한 가상적 Interface이다. - File System은 각각의 운영체제별로 종류가 다양하며 기능부분도 다른 점이 있다. - Linux의 File System · ext2 · ext3 · ext4 2. Partition - 연속된 저장 공간을 하나 이상의 연속되고 독립된 영역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