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apter 7. Router Chapter 7. Router 1. Router란 - Layer 3즉 Network 계층 장비로 서로 다른 Network를 연결 하고 Broadcast Domain을 나누는 장비이다. - Router의 역할 ‧ 경로설정 ◦ packet이 목적지로 갈 수 있는 경로를 확인하고 경로들 중에서 최적경로(Best path)를 결정 ‧ Switching ◦ 결정된 경로대로 Packet을 전송하는 것 ◦ Packet을 전송할 때 목적지까지 전송을 책임지지 않고 목적지 경로상의 다음 Router에게까지만 전달한다. ◦ Packet을 전송할 때 Routing table을 보고 전송한다. ※ Routing table : Routing protocol에 따라 작성되는 네트워크 경로 저장소 - Routing ‧ 특정 in.. 더보기
Chapter 6. Switch Chapter 6. Switch 1. STP(Spanning-Tree Protocol) - 스위치(Switch)나 브리지(Bridge)에서 발생하는 Looping 현상을 막아주기 위한 Protocol - Looping 현상(Broadcast Storm) ‧ 두 Host 사이에 스위치(Switch)나 브리지(Bridge)가 두 개 존재할 때 한 개의 Host에서 Broadcast로 Frame을 전송했을 때 두 스위치 모두 Broadcast라고 판단해 두 스위치가 서로에게 Frame을 지속적으로 전송에 통신장애가 발생하는 현상 - STP에 필요한 요소 ‧ Bridge ID ◦ 브리지(Bridge)나 스위치(Switch)가 통신할 때 서로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씩 가지고 있는 ID로 Bridge ID가 가장 낮.. 더보기
Chapter 5. Protocol Chapter 5. Protocol 1. 각 계층별 PDU(Protocol Data Unit)​ - Layer 1 : Signal(Bit) - Layer 2 : Frame - Layer 3 : Packet, Datagram - Layer 4 : Segment - Layer 5~7 : Data 2. Layer 2 Protocol - Ethernet · 가장 널리 쓰이는 근거리 통신망 Protocol · 18Mbps의 Data 전송률과 Bus Topology를 사용한다. ※ Bus Topology ›개방된 Cable에 Computer가 연결된 형태 ※ Layer 2의 Data는 Frame이라 한다. · Ethernet의 Data 전송률 ◦ 100Mbps ◦ 1000Mbps · Ethernet을 위한 접근방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