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4. IP Addressing & subnetting Chapter 4. IP Addressing & subnetting 1. IP Address - IP주소 ‧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통신망과 그 통신망에 연결된 컴퓨터에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 주소 ‧ IP주소는 32bit 즉, 2진수 32자리로 이루어져 있고 따라서 표현할 수 있는 주소의 수는 2²³개정도이며 그 중에 일정한 규칙 때문에 못 쓰는 주소도 있다. ‧ 2진수 표현에서 8자리마다 점(.)을 찍기 때문에 2진수 8개를 묶어 옥텟(Octet)이라고 한다. ‧ 각 옥텟의 최댓값은 255가 된다. ‧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Network Address), 호스트 주소(Host Address)로 구성되며 각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를 배정하고 그 후에 호스트 주소를 배정하며 점(.)을 찍은 10진수 표현.. 더보기 Chapter 3. Ethernet & Network Equipment Chapter 3. Ethernet & Network Equipment 1. Ethernet - LAN을 위해 개발된 Network 방식 - IEEE기준을 따른다. - CSMA/CD Protocol을 사용해 통신한다. - Half Duplex 방식을 사용한다. - IEEE ‧ CSMA/CD 방식에 의한 Access 방법과 물리층의 사양을 규정한 LAN의 국제적인 표준 규격 ‧ OSI Layers의 L1(Layer 1)를 물리계층이라고 하는데 물리 계층에 연결되는 장치들의 물리적 전송 매체와 연결부위를 정의했다. ‧ Data Link 계층(Layer 2)과 연결하는 방법을 정의했다. ‧ 서로 다른 계층으로 Data를 전송하기 위하여 Data Encapsulation을 정의했다. ※ Encapsulation.. 더보기 Chapter 2. OSI 7 Layer & TCP-IP Chapter 2. OSI 7 Layer & TCP-IP 1. OSI 7 Layers 참조 모델 - OSI 7 Layers ‧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만든 네트워크 통신 계층 참조 모델 ※ 참조모델 : 표준 및 호환성 유도를 위해 사용되는 권고안 ‧ Network를 통해 어떻게 정보가 전달 되는 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OSI 7 Layers의 장점 ◦ 복잡성 감소 ◦ Network 기능 표준화 ◦ Hardware, Software 모두 호환성이 높다. ◦ 한 계층의 내용을 변화시켜도 다른 Network 계층의 변화와는 무관하다.(독립성) ◦ 배우는 사람이 습득을 쉽게 할 수 있다. ‧ 계층별.. 더보기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