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5.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Chapter 15.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1.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DHCP Server에게 동적(Dynamic) 방식으로 IP Address를 하나씩 받아오는 방식의 기술 - PC들은 Booting되면 TCP/IP Network에 참여하기 위해 자신이 사용할 IP Address 정보(IP Address, Subnet Mask, Default Gateway DNS Server)를 찾는 데 DHCP는 DHCP Server에게서 모든 IP Address 정보를 자동으로 받아오게 된다. - IP 주소 관리를 편하게 해준다. - DHCP는 임대 서비스(Lease Service)이기 때문에 사용기간을 .. 더보기 Chapter 14. DNS(Domain Name System) Chapter 14. DNS(Domain Name Service) 1. DNS(Domain Name Service) - Network에서 Domain이나 Host Name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TCP/IP Network Service - 계층 구조를 가지는 분산 Database 구조 - 각 조직을 구분해 주는 Domain Name을 관리하는 DNS Server들이 모여서 만들어낸 가상 이름 공간 - Server · DNS Client 요청에 응답해주는 Computer · Computer 이름과 IP Address 정보를 가지고 있다. - Client · DNS Server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용하는 Computer · ipconfig /all 명령을 이용해 IP Address 확인 - .. 더보기 Chapter 13. Routing Chapter 13. Routing 1. Routing - DNS Service를 이용하기 전에 DNS Service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Routing이 필요하다. - 가상 PC 설치 · Routing을 하기위해 VMware에서 4 대의 가상 PC(Server 1, Client 1, Server 2, Client 2)를 위의 설정대로 설치 ※ VMware 설치는 Chapter 1. 참고 - Routing · 각 PC 설치 후 위와 같이 IP를 설정한다. · 설정 : 실행 → ncpa.cpl ※ Host-Only는 Host-Only끼리 통신하기 때문에 IP 대역이 같아야한다. - Server 1과 Server 2의 역할 설치 · Server 1과 Server 2는 Router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에 Ro.. 더보기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57 다음